azure6 Azure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서버 구축 (2) 가장 먼저 아래와 같이 Vnet을 생성해준다. Subnet도 4개 생성해주자 Azure Database for MySQL을 사용하여 DB를 하나 만들어준다. 네트워크 연결은 프라이빗 액세스로 해준다. 그리고 VMSS를 배포하기 위해선 완성된 VM의 이미지가 필요할 것이다. Web은 Gnuboard5를 활용하여 세팅하고 완성된 VM을 이미지화 시켜줬다. ( VM과 DB사이 연결을 확인이 된 상태 ) 위 이미지로 VMSS를 배포해준다. 이제 VMSS와 연결해줄 Application Gateway를 생성한다. 백엔드 풀 메뉴를 선택하고 생성된 VMSS를 추가해준다. VMSS는 Private 서브넷에 생성되었기 때문에 Bastion이 필요하다. key를 가지고 있으면 Bastion을 통하여 VMSS의 인스턴스에.. 2022. 7. 31. MS Azure 기초 실습 (8) - 가상머신 확장집합 (VMSS: Virtual Machine Scale Set) - 100개 단위로 하나의 배치 그룹을 사용 * VMSS ( Virtual Machine Scaling Set: 오토 스케일링) - 클라우드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이유 * 프런트엔드 VMSS 배포하기 부하 분산 장치가 잘 작동 중 애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를 위와 같이 만들어준다. 프런트 엔드 VMSS VM 인스턴스에서 웹 브라우저에 게이트웨이 프런트 엔드 ip 주소를 넣어 확인 2022. 7. 15. MS Azure 기초 실습 (7) 앞 실습에서 이어지는 내용 우분투 서버 VM을 두개 만들어준다. 부하 분산 장치를 만들어 준다. 인바운드 NAT 규칙을 두개 설정 *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클라이언트가 사설 IP 구간에 있음 - 사설 IP구간에 있는 컴퓨터가 공유기를 거쳐서 나갈 때, 출발지에 있는 사설 IP를 공인 IP로 바꿔줌 - 목적지에 갔다가 돌아올 때는 공유기를 거쳐서 들어올 때, 목적지에 있는 공인 IP를 사설 IP로 바꿔줌 * 인바운드 NAT: 서버가 사설 IP구간에 있음 - 인터넷으로 들어오면 공인 IP를 사용하기 때문에, AGW를 거쳐서 들어올 때 목적지를 사설 IP로 바꿔줌 ---> 사설 IP 서버에 도착 - 사설 IP서버에서 인터넷으로 내보낼 때는 AGW에서 다시 공인 IP로 .. 2022. 7. 14. MS Azure 기초 실습 (5) * VM (가상 머신, Virtual Machine) - Ubuntu: RSA키 쌍 (2048bit)을 만들어서 공개키를 서버에 등록 - Windows Server: RDP로 접속 * Diffie-Hellman 방식 --> 기밀성(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 - 자신의 공개키를 상대방에게 제공, 자신의 개인키와 상대방의 공개키를 이용해서 세션 키(대칭키)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 대한 인증 --> (로그인) 인증 - Client에서 개인키로 서명해서 Server에 전송 ---> Server에서는 Client의 공개키로 복호화 --> 올바른 사용자임을 증명 - Client가 자신의 개인키를 가지고 있음 (chmod 400 key)을 증명하면? 소유기반 * 스토리지 - Server에 있는 디스크(SSD):.. 2022. 7. 12. 이전 1 2 다음